본문 바로가기
Tech/Windows

윈도우 그룹정책과 레지스트리값 설정중 어느것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가

by 트리시스 2025. 2. 19.
반응형

1. 그룹 정책(GPO) vs 레지스트리 값 적용 우선순위

✅ 그룹 정책(GPO)이 레지스트리보다 우선 적용됨
• 그룹 정책을 설정하면, 해당 정책이 레지스트리를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더라도, 그룹 정책이 적용된 항목이라면 그룹 정책이 설정한 값이 유지됩니다.
• 그룹 정책이 적용되면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설정을 변경해도 즉시 또는 다음 그룹 정책 업데이트 시 덮어씌워짐 (gpupdate /force 실행 시 즉시 반영).

2. 그룹 정책과 레지스트리가 충돌할 경우

💡 그룹 정책이 적용되는 항목이면 레지스트리 변경이 무시됨
• 그룹 정책을 통해 설정한 값은 대부분 정책 적용 해제 전까지 레지스트리 값 수정이 불가능함.
• 특정 정책이 적용되면,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키를 직접 변경해도 정책이 설정한 값으로 다시 덮어씌워짐.
• 그룹 정책에서 설정을 “구성 안 함” 또는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야 레지스트리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음.

3. 그룹 정책이 적용되는 레지스트리 경로

그룹 정책이 적용되면 보통 다음 경로에서 해당 설정을 관리합니다.
• 로컬 그룹 정책 설정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 “Policies” 경로에 설정된 값은 그룹 정책이 적용된 것이므로 직접 변경해도 무시됨

• 일반 레지스트리 설정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 여기에 설정된 값은 그룹 정책이 없을 경우에만 적용됨
• 그룹 정책이 설정된 경우 덮어씌워짐

4. 그룹 정책 강제 해제 방법

그룹 정책이 적용된 항목을 직접 수정하고 싶다면, 그룹 정책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방법 1: 로컬 그룹 정책(GPEDIT)에서 정책 해제
1. Win + R → gpedit.msc 입력 → Enter
2. 정책이 적용된 경로로 이동 (예: “관리 템플릿” → “개인 설정”)
3. 해당 정책을 “사용 안 함” 또는 “구성 안 함“으로 변경
4. gpupdate /force 실행 또는 재부팅

방법 2: 레지스트리에서 그룹 정책 해제
1. Win + R → regedit 입력 후 Enter
2. 아래 경로에서 관련 키 삭제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3. gpupdate /force 실행 또는 재부팅

📌 정리: 그룹 정책 vs 레지스트리 우선순위

상황 적용 우선순위
그룹 정책이 설정됨 그룹 정책(GPO)이 우선 적용됨 (레지스트리 변경 무시됨)
그룹 정책이 없음 레지스트리 값이 적용됨
그룹 정책 설정 후 삭제됨 이전 정책 값이 남아 있을 수 있음 (재부팅 또는 gpupdate /force 필요)

➡ 그룹 정책이 설정되면 레지스트리 값보다 우선 적용
➡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하려면 그룹 정책을 해제해야 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