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Windows

윈도우 - 시작프로그램 관리

by 트리시스 2020. 4. 5.
반응형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관리를 하는 방법을 정리해봅니다. 

 

윈도우 부팅과 함께 바탕화면을 로딩하면서 함께 시작되는 프로그램을 편집/관리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한 관리

시작 -> regedit 명령을 통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여

아래의 경로를 찾아서 레지스트리 값을 등록하면 부팅시 시작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HKLM\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요즘은 64비트 사용자가 많아서 위의 경로 사용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32비트 사용자는 아래 경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파일 경로를 확인하여 레지스트리 값을 등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실행파일이

c:\download\실행파일명.exe 이렇게 있다면

위의 파일 경로를 레지스트리 값으로 입력하여 등록합니다. 

다음 부팅시 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죠

 

반대로 이런부분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나 사용자의 pc를 느리게 만드는 프로그램들이 등록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작프로그램에 어떤 프로그램이 등록되어있는지 알아보는 방법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1. 작업관리자 -> 시작프로그램 

 

2. 시스템 구성(msconfig) -> 시작프로그램 -> 작업관리자 열기

시스템 구성은 이렇게 실행하시면 됩니다.

윈도우키 + R 입력 -> 실행창 나타나면 msconfig 입력 

이렇게 하면 시스템구성 창이 나옵니다.

윈도우10 부터는 작업관리자에서 시작프로그램을 보여줍니다. 

 

 

3. Autoruns 프로그램

https://docs.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autoruns

위 경로를 접속하면 프로그램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Autoruns는 초보자 사용하기에 숙달되지 않으면 어렵습니다.

시작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작업 스케줄러 등 여러가지 자동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들을 볼 수 있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칫하다가 필수서비스를 건들여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충분히 알아보고 사용하셔야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