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투자 이야기

미국 S&P 500 ETF

by 트리시스 2020. 12. 2.
반응형

미국 S&P 500 관련 여러 ETF가 있는데 대표적인 티커 "SPY"가 있으며, 국내에는 여러 증권사들의 관련 ETF들이 있습니다.

이전부터 파이낸셜그룹의 조병학님께서 여러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면서 SPY의 히스토리와 투자시 이점들을 설명을 많이 했습니다.

개별종목과의 차이 그리고 ETF로 투자했을 때 이점 등 말이죠..

 

주린이들이라면 ETF투자가 나쁘지 않고 그리고 꾸준하게 우상향하는 SPY의 투자는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장기투자했을 때 엄청난 복리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주식 시장이다 보니 환율, 거래세, 환율에 따른 수익의 변화가 있습니다.

장기로 봤을 때는 이 모두를 상쇄할만큼 수익률 보였던 과거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리고 ETF 란 exchange-traded fund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를 말하며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펀드를 뜻합니다. 

 

 

출처 인베스팅닷컴

조병학님이 얘기했던 SPY를 보면서 국내의 ETF는 실적들은 어떻게 되었을 궁금했었는데 한화와 미래에셋에서의 ETF를 보면서

상대적으로 SPY보다 적은가격에 비슷할 효과을 낸다면 나름 괜찮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가성비라는게 주식에도 있다면 좋겠다는 것이죠..

단순 실적으로만 보면 비슷하겠지만 자세히 조사해봐야겠죠

출처 인베스팅닷컴
출처 인베스팅닷컴

한화쪽 ETF와, SPY의 둘 다 중가 중간 떨어지는 구간도 있지만 우상향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SPY가 전통쪽으로 꾸준하게 우상향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것을 보고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미래에셋이나 한화쪽 ETF를

투자해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다만 한 번 더 체크해야하는 것은 구성종목이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를 봐야겠죠

 

한화 arirang ETF 구성종목입니다.

출처 한화자산운용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SPY 구성종목입니다.

 

State Street Gloval Advisors SPDR

세 종목 다 구성종목은 비슷비슷합니다. 차이점은  운용규모와 운용사겠죠 

결과적으로 어떤종목을 선택하느냐는 개인의 몫인 것 같아요

 

다만 어떤종목이든 몰빵보다는 많은 투자 전문가들이 얘기한 것처럼 IRP 계좌나 또는 개인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서

소량의 금액 부터 시작을 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또한 위 퇴직연금계좌나 개인 연금 저축계좌에서 시작을 하는 것이 세금적으로나 노년대비를 하는 데 있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