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한 번 정리해봅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의 재택근무 기간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언택트 위주의 업종이 수혜를 받고 있고 줌 이후 화상 대화 시스템에서 MS 팀즈, 시스케 웹엑스 등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국내 같은 경우 MS 제품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대규모 기업들은 EA 계약을 통해서 MS팀즈를 사용하는데 비용적으로 문제가 없을 거라고 예상은 해봅니다. 계약 내용에 따라서 아닐수도 있을 것이고요 정확히 EA 계약에 대해서 더 조사를 해봐야겠습니다. MS는 이미 국내 기업들이 많은 제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팀즈 와의 연동성에 대해서 파일럿테스트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기존에 MS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회사에서 팀즈를 도입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이죠 그래서 시스코를 보면 웹엑스라는 좋은 솔루션이 있음에도 인지도에서 많이 밀려보였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시스코 제품보다는 MS 팀즈가 조금 더 앞서 보였습니다. 확실히 시스코는 기존의 네트워크 제품 강자의 모습이 강해서 이런 SW 제품적으로는 약세였는데 이런 모습을 극복하고자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를 인수하면서 보완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웹엑스 인수를 이미 오래전에 했었죠
시스코가 이번 불황에서 상대적으로 잘 버티고 있습니다. 유명 해외주식을 전문적으로 하는 유튜버를 통해서 저 또한 정보를 얻고 확인을 해보니 이번 쿼터에서도 상대적으로 잘 선방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관론자들은 아직 시작도 안했다고 하지만 말이죠 그리고 시스코는 현금 보유량 또한 높아서 이번 사태를 기회로 잘 바꾸면 네트워킹 전문 이미지에서 클라우드와 언택트 부분의 글로벌 리더로 치고 나갈 수 있을 텐데 이번에 MS 팀즈가 줌 때문에 반사수익을 얻고 있네요 계속 해서 얘기했지만 브랜드, 회사 이미지의 한계인게 아쉽습니다.
부채를 보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현금 흐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stock/csco/financials/cash-flow
Cisco Systems Inc.
CSCO | Complete Cisco Systems Inc. stock news by MarketWatch. View real-time stock prices and stock quotes for a full financial overview.
www.marketwatch.com
저는 전통적인 하드웨어 시장에서 국내에서는 HP가 시스코에서 비해 시장점유율이 높아 세계적으로 시스코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주식공부하면서 시스코가 오히려 재정적으로나 주시가격으로 우위에 있고 배당금, 배당성향 또한 높아 해외주식 미국주식 하시는 분들중에서 IT부문 포트폴리오 구성할 때 시스코 시스템즈 넣는 것에 한 번쯤 검토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시스코 또한 HCI, 네트워크 제품들은 매우 뛰어나고요 블레이드, Rack 타입 서버 등 다양하게 제품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미 탄탄한 하드웨어 라인에 소프트웨어 적인 모습으로 시스코시스템즈 이미 업그레이드 진행중입니다.
'재테크 > 주식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0) | 2020.06.24 |
---|---|
오늘 주가 (0) | 2020.06.11 |
공인인증서 폐지 - 한국전자인증 (0) | 2020.05.20 |
공인인증서 폐지 검토 / 시큐브 (0) | 2020.05.18 |
LMT/록히드마틴 (0) | 2020.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