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투자 이야기

미국대선에 따른 지수 변화

by 트리시스 2020. 11. 3.
반응형

대선일부터 약 한달간 지수 변화가 어떤지 궁금해서 데이터를 인베스팅닷컴 사이트에서 조회해서 한번 봤습니다. 

지난 2016년 트럼프 당선 당시의 다우존스 지수입니다. 

지난 과거데이터로 현재의 데이터를 예측할 수 없지만 참고용으로 또는 예전 히스토리 조회용으로 보는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16년 미국 대선일 : 2016년 11월 08일

다우존스는 하락 보다는 상승이 많았던 한 달이었습니다.

2016년 미국 대선 이후 다우존스

 

그럼 나스닥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나스닥 또한 상승하는 날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면 이때 당시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2016년 하반기에는 국정농단 사건으로 계속 시끄러웠죠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도 엮인 부분도 있어서 

이 당시 우리나라 지수와 삼성전자의 주가를 한 번 확인해봤습니다. 

 

코스피는 위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를 봤을 때 상대적으로 적게 상승되었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되었을 때 우리나라 지수에는 상대적인 호재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궁금했던 삼성전자입니다.

그런데 데이터가 이상하게 표현되어있네요 이때 당시에는 분할전이라서 데이터가 뭔가 제대로 반영이 안된 것 같습니다. 

 

이 데이터는 못 쓰겠어요...

 

그래서 네이버증권 사이트로 다시 확인해봅니다..

 

2016년 11월 08일 가격 : 164400

2016년 12월 08일 가격 : 179000

한 달 비교했을 때 104600 정도 올랐네요 

 

위에 이렇게 한 번 지수와 주가를 확인해봤던 이유는 워낙 이번 미국 대선으로 인해 주식시장에 변동이 많다.

주가가 떡락될 것이다. 누가되면 금리가 오르니 마니 이런 정보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 미국대선도 대선이지만 코로나19 라는 또 하나의 변수로 인해서 앞으로 한 달을 지켜봐야 할지 그래서 과거에는 어땠나 한 번 둘러봤습니다. 

보면서 느낀부분은 이래나 저래나 변동은 심할 것이고 그냥 기존까지 바라봤던 주식시장에 미국대선이라는 변수만 추가되었구나 라는 생각만듭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포지션에 긍정적일지 아닐지 차라리 이럴때는 기업들의 향후 계획이나 한 번 더 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