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일부터 약 한달간 지수 변화가 어떤지 궁금해서 데이터를 인베스팅닷컴 사이트에서 조회해서 한번 봤습니다.
지난 2016년 트럼프 당선 당시의 다우존스 지수입니다.
지난 과거데이터로 현재의 데이터를 예측할 수 없지만 참고용으로 또는 예전 히스토리 조회용으로 보는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16년 미국 대선일 : 2016년 11월 08일
다우존스는 하락 보다는 상승이 많았던 한 달이었습니다.
그럼 나스닥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나스닥 또한 상승하는 날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면 이때 당시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2016년 하반기에는 국정농단 사건으로 계속 시끄러웠죠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도 엮인 부분도 있어서
이 당시 우리나라 지수와 삼성전자의 주가를 한 번 확인해봤습니다.
코스피는 위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를 봤을 때 상대적으로 적게 상승되었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되었을 때 우리나라 지수에는 상대적인 호재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궁금했던 삼성전자입니다.
그런데 데이터가 이상하게 표현되어있네요 이때 당시에는 분할전이라서 데이터가 뭔가 제대로 반영이 안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네이버증권 사이트로 다시 확인해봅니다..
2016년 11월 08일 가격 : 164400
2016년 12월 08일 가격 : 179000
한 달 비교했을 때 104600 정도 올랐네요
위에 이렇게 한 번 지수와 주가를 확인해봤던 이유는 워낙 이번 미국 대선으로 인해 주식시장에 변동이 많다.
주가가 떡락될 것이다. 누가되면 금리가 오르니 마니 이런 정보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 미국대선도 대선이지만 코로나19 라는 또 하나의 변수로 인해서 앞으로 한 달을 지켜봐야 할지 그래서 과거에는 어땠나 한 번 둘러봤습니다.
보면서 느낀부분은 이래나 저래나 변동은 심할 것이고 그냥 기존까지 바라봤던 주식시장에 미국대선이라는 변수만 추가되었구나 라는 생각만듭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포지션에 긍정적일지 아닐지 차라리 이럴때는 기업들의 향후 계획이나 한 번 더 봐야겠습니다...
'재테크 > 주식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E(화이자) CEO는 주식을 매도했었다.. (0) | 2020.11.11 |
---|---|
미국주식 - 주의사항(환율) (0) | 2020.11.10 |
브로드컴 주가 (1) | 2020.10.29 |
프록터앤갬블(PG) 신고가 갱신 (0) | 2020.10.10 |
존슨앤존슨 주가 (0) | 2020.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