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흔히 간단히 적정 주가를 찾는 방법중에
PER * EPS 가 있는데
여기서 PER란 네이버 증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PER는 주가수익비율을 말하며 현재주식가격 / 주당순이익 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EPS는 기업의 당기순이익에 기업의 주식수를 나눈 값입니다
이 두 가지 수치를 찾아서 곱한 값으로 적정 주가를 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 절대적으로 옳다는 것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적정주가를 찾는 방법중에 하나이고 예시로 참고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예시로 삼성전자를 한 번 보겠습니다
금일(12/21) 장 종가 기준으로 현재 73,000원입니다

PER : 19.93
EPS : 3,662
제공된 수치의 계산값 : 19.93 * 3662 = 72,983.66
추정 PER : 18.04
추정 EPS : 4,046
추정 계산값 : 18.04 * 4046 = 72,989.04
삼성전자의 현재 수치로 구해본결과
현재 주식가격과 비슷하게 나오는 것 같네요
만약에 현재가격보다 위 공식으로 구한 값이 크다면
현재가격이 저렴하다고 볼 수도 있는거죠
다시 한 번 얘기드리지만 어디까지 위 방법이 절대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방법외에 기업에 대해 더 공부하고 투자 할 만한지 자료를 찾아보고 신중하게 투자하셔야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으니까요
반응형
'재테크 > 금융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의 법칙이란 (1) | 2025.03.03 |
---|---|
미국의 소비 심리 약화가 미국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친 이유 (0) | 2025.02.22 |
리커젼이 포함된 ETF (0) | 2025.02.18 |
Ai제약회사 리커젼과 대형 제약사와의 차이점 (0) | 2025.02.17 |
[독서후기] -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0) | 2021.05.28 |
댓글